전체 글(48)
-
"AI/LLM 경험 우대"의 진짜 뜻: 채용공고에서 찾아보는 흐름 8가지
요즘 AI 모델/ML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채용 공고를 보면"AI/LLM 경험 우대", "에이전트 개발 경험 우대" 등 과거(2-3년 전)에는 찾아보기 어려운 문구들이 들어가 있는 것들을 많이 볼수 있습니다. 근데 도대체 무엇을 했다는 걸 보여달라는 건지, 단순히 "프롬프트 좀 잘 쓴다."가 아니라, 제품에 붙여 돈/지표/속도를 바꿔본 경험을 찾습니다. 최근 국내외 채용 문구들을 쭉 흝어보며, 회사들이 실제로 원하는 역량과 그 배경(비즈니스 가치)를 정리해보겠습니다.1) 아이디어 > 실험 > 제품화까지 "끝단까지" 밀어붙인 사람공고 속에서 prototype, launch 등 서로 양 끝에 있는 단어들이 함께 나열되어 있는 경우들이 있습니다.개발 도우미로써 LLM이 이미 크게 인정을 받고, 사용되고 있는 ..
2025.09.05 -
컴퓨터는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 프로그래밍에서 랜덤을 제대로 다루는 방법
우리가 게임에서 몬스터가 가끔 레어 아이템을 떨구길 기대하고, 추천 시스템이 적당히 다양하게 보여주길 바랄 때,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수많은 랜덤이 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하면, 컴퓨터는 진짜 주사위를 던질 줄 모릅니다. 대신 "그럴싸하게 보이는 무늬"를 빠르게 그려내죠. 오늘은 그 무늬의 비밀과 랜덤의 메커니즘과 대표 알고리즘, 그리고 제대로 쓰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랜덤의 두 얼굴: TRNG vs PRNG vs CSPRNG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물리 세계의 노이즈(열, 방사선, 전기적 작용 등)을 이용해 예측 불가능한 값을 뽑습니다. 보안 토큰, 암호키 생성처럼 진짜 무작위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쓰죠. 다만 하드웨어/OS 의존성이 있고..
2025.09.03 -
트리거 vs 코드 트랙잭션, 어디서 선을 그을까?
"분명 아무도 업데이트 안 했다는데 값이 바뀌어 있네...?"이미 어느정도 만들어져 있는 서비스 단에서 백엔드를 개발하다보면 이런 미스터리한 경험을 한 번쯤 겪곤합니다. 범인은 종종 데이터베이스 트리거. 반대로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트랙잭션을 직접 열고 일련의 쿼리를 처리하기도 하죠. 둘 다 유용한 도구인데, 어디까지 DB에 맡기고 어디부터는 애플리케이션이 책임져야 할까요?트리거‑트랜잭션이 뭔가요?사실 이 둘을 비교하는 건 잘못된 비교일 수도 있습니다. 트리거 자체에서도 트랙잭션을 열고 사용하기도하고, 트리거 자체는 DB 내에서도 애플리케이션 수준으로 좀더 추상화된 개념이고, 트랙잭션은 DB 내의 기능으로 봐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이 글에서는 트랜잭션이라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트랙잭션을 직접..
2025.09.02 -
손의 시대에서 머리의 경쟁으로: LLM 시대 엔지니어의 생존 전략
요즘 이런 경험, 다들 한 번쯤 하셨을 거예요. LLM 한테 기능 설명 던져놓고 이것저것 수정을 완료하니 길면 몇 시간 짧으면 몇 분 만에 코드가 완성됩니다. "오, 이거 오늘 안에 끝나겠는데?" 싶은 마음도 들기도 하지만, 막상 배포까지는 꼬박 일주일. 어디서 시간이 샜을까요? 설계, 조건, 보안, 운영. 손은 빨라졌지만 머리는 더 바빠졌습니다. 이 글은 그 변화 속에서 우리가 무엇으로 승부해야하 하는지, 그리고 포트폴리오와 커리어 전략을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문제 해결의 정의부터 새로깔자우리는 전기나 반도체의 원리를 전부 이해하지 못해도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매일 사용합니다. 중요한 건 "원리를 모두 증명했는가" 가 아니라 "작동하게 만들고, 안정시키고, 개선하는가" 입니다..
2025.09.01 -
GPT-5 는 언제 '생각 모드'로 바꿀까?
"어제는 2초 만에 툭 답하더니, 오늘은 12초 동안 생각하네?"LLM 을 사용하는 위와 같은 생각을 하는 순간들이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된 GPT-5 는 더더욱 그런 경험이 늘어나고 있습니다.그 이유로는 GPT-5는 요청의 난이도에 따라 빠른 모델과 깊게 생각하는 모델을 자동으로 오가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인데요.이 글에서는 그 자동 전환("라우팅" 이라고 부르더라고요)이 어떤 원리로 일어나고, 우리가 언제 어떤 모드를 쓰면 좋을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비용과 지연 문제를 어떻게 최적화할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왜 GPT-5 는 "자동으로 생각 시간을 늘릴까?"GPT-5는 통합 시스템입니다. 뒤에서는 "대부분의 질문에 즉답하는 빠른 모델"과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깊게 추론하는 모델"을 실시간 라우터..
2025.08.27 -
React에서 URL 기반 페이지네이션 구현 (feat. useSearchParams)
페이지네이션은 대부분의 리스트 페이지에서는 필수적인 기능입니다.리스트로 보여줄 데이터 10개 미만이라면 그냥 모든 데이터를 보여줘도 상관없겠지만, 그게 1억개가 된다면 UI적으로는 물론이고 백엔드 서버에도 큰 부하를 줄 것입니다.그래서 거의 모든 서비스에서도 리스트 페이지를 구현할때, 페이지네이션을 이용할 것입니다.React 페이지네이션, 왜 URL과 함께 관리해야할까?저는 vapevibe의 상품 목록에서 원래 useState를 이용하여 페이지네이션을 관리하려고 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번잡한 URL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았기때문이죠.근데 몇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사용자가 '뒤로 가기'를 눌렀을 때, 항상 첫 페이지로 돌아감URL을 복사해도 현재 페이지 정보가 유지되지 않음새로고침하면 페이지 상태가..
2025.06.09